[벧전2:11-25]
11 사랑하는 자들아 거류민과 나그네 같은 너희를 권하노니 영혼을 거슬러 싸우는 육체의 정욕을 제어하라
12 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
13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14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보낸 총독에게 하라
15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
16 너희는 자유가 있으나 그 자유로 악을 가리는 데 쓰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종과 같이 하라
17 뭇 사람을 공경하며 형제를 사랑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왕을 존대하라
18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종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 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
19 부당하게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20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 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21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22 그는 죄를 범하지 아니하시고 그 입에 거짓도 없으시며
23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시고 고난을 당하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부탁하시며
24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25 너희가 전에는 양과 같이 길을 잃었더니 이제는 너희 영혼의 목자와 감독 되신 이에게 돌아왔느니라
오늘 본문의 말씀을 읽고 묵상하고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먼저 고백하고 싶습니다.
먼저, 13-14절에 이렇게 말씀합니다.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보낸 총독에게 하라고 하십니다. 저는 이 말씀을 읽으며 마음에 반발이 생겼습니다. 그렇다면 악한 제도, 악한 왕, 악한 총독에게도 순종하라는 것인가? 라는 생각입니다. 좀 극단적으로 말하면 군사독재 시절에 부당한 일을 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 일에 동조하고 협조 하는 것이 옳은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독일 사람들은 2차 세계대전 당시 히틀러에게 순종하는 것이 성경적이었나? 라는 생각까지 하게 됩니다. 그리고, 18절에 보면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종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 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 19절에 이어서 보면 “부당하게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라고 말씀합니다. 이 말씀을 지금 상황에 비춰 생각해 보면, 갑질을 당해도 아무소리 하지 말고 참고 일하라는 것입니다. 최근에 재벌가의 갑질에 대해서 많은 뉴스가 나옵니다. 만일 우리 자녀들이 그런 상황 속에서 고통을 당하고 있을 때 우리는 이 성경 말씀을 읽어 주며… 부당하게 고난 받아도 참으라고 말할 수 있냐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문자적으로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배경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고 읽고 묵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 왕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거의 신적인 존재입니다. 그리고 왕이 파견한 총독도 막강한 권력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지금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권과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와 다른 사회였습니다. 지금은 부당한 권력에 대해서 당당히 말하고 맞서는 것에 대해서 사회 구성원들이 동조하고, 지지하는 환경입니다. 그러나, 당시에 왕과 권력에 대해서 맞선다는 것은 반역에 해당하는 중범죄로 인식되는 사회입니다. 특히 로마의 황제는 세상 사람들 모두 그의 권력을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에 반하여 행동하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복음을 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베드로는 왕과 맞서는 것 보다 지금은 그들에게 순종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오히려 복음을 증거하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당시에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과격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빌립보서 1장 15절에 “ 어떤 이들은 투기와 분쟁으로, 어떤 이들은 착한 뜻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나니" 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절대로 폭력을 쓰지 않았습니다. 때리면 맞고, 감옥에 갇히며 복음을 증거했는데, 어떤 사람들은 절대로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며 폭력적인 방법을 동원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베드로가 보니까 이렇게 복음을 증거하는 것은 결코 도움 되지 않는다고 판단 한 것입니다. 그래서 순종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사환들에게 말합니다. 여기서 사환은 노예와는 다른 신분의 사람들로 가정의 일원으로 소속감을 갖고 주도적으로 일하는 사람들입니다. (집사) 이들은 노예가 아니기 때문에 자유인입니다. 그래서 가정을 직장으로 생각하며 일하는 사람들인데, 이 사람들은 많은 경우 노동력을 착취당했고, 집 주인의 부당한 처우로 힘든 삶을 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도 이런 처우를 당하며 사는 시대 였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은 자신의 신분을 망각한 채 죄를 짓습니다. 그래서 “매”로 다스림을 받았던 그런 사회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베드로는 오히려 그렇게 주인의 부당함에 죄를 지어 매는 맞으면 당연히 맞는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오히려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참는다면 하나님 앞에 아름다운 것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지금 상황에서 이 말씀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베드로가 이렇게 말하는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이 땅의 삶이 전부가 아니기 때문에 순종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베드로는 거류민과 나그네 같은 너희를 권한다고 말씀을 시작했습니다. 우리의 시민권은 천국에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거류하는 거류민이고, 우리는 언젠가 이땅을 떠날 것이기 때문에 나그네입니다. 이것은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우리의 정체성입니다. 이 정체성을 갖는 다면, 이 세상의 삶에 집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베드로는 힘들어도 참고 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둘째로, 그렇게 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이땅에서 그리스도인로 살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믿음을 지키기 위해서 포기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믿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세상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한가지 바라봐야 할 것은 나의 믿음이 행동은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이 된다는 확신으로 참고, 견디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땅에 태어난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을 돌리기 위함이라는 사실을 알고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유지하며 살아야 합니다.
참 신기한 것이 있습니다. 만일 베드로가 이런 편지를 교회들에게 썼다면 교회에 있는 사람들은 분명히 반발하지 않았을까요? 사환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며 교회를 나가야 하지 않았을까요? 왕에 의해 핍박받고 가족이 순교당하는 상황에 직면하는 사람들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며 뛰쳐 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초대 교회는 핍박 당하면 당할 수록 강해졌습니다. 초대 교회는 부자들보다 가난하고 힘 없고, 사회적으로 약자들에게 오히려 더 인기가 있었습니다.
비록 직장에서는 핍박 당했지만, 그들의 믿음이 더욱 성장하여 순종함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날 날을 기대하며 기쁨으로 살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당장 순교 당할 수 있지만, 22절과 23절 “22 그는 죄를 범하지 아니하시고 그 입에 거짓도 없으시며 23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시고 고난을 당하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에 나타난 예수님을 바라보며 진짜 믿음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몇주전 주일 설교때 말씀 드렸습니다. 로마 황제의 극악한 핍박속에서 어떻게 기독교는 살아남아 로마의 국교가 되었을까? 기독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해서 국교로 승인 했다고 많이 말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그래도, 국교가 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기독교 인들이 살아 움직여야 가능하지 않을까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당시 기독교 인들 중에는 유모들이 많았는데, 로마 사람들이 유모들을 보면서 정말 착하고, 순종하고, 아이들을 잘 키워서 기독교 인 유모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아들, 딸을 결혼시키려 하면, 로마 사람들 가운데는 제대로된 사람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순결한 사람, 믿을 만한 사람을 소개 받아 결혼 시키면 그사람이 바로 그리스도 인이었고, 그 사람이 가정에 들어가 자녀를 키우며 기독교인으로 키웠다고 합니다. 그런 시간이 300년 가까이 흘렀을 때 이미 로마 지도층에 많은 기독교 인들이 자리하고 있었고, 하층민들고 기독교 인들이 많았기 때문에 가능해 졌다고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이 땅의 거류민, 나그네로 사는 사람들입니다. 하늘의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살아가야 합니다. 이 땅이 하나님의 영광이 가득할 수 있도록 내 자신을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때로는 하나님의 명령이 이해 되지 않더라도 하나님이 원하시는 일이라면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마땅히 해야 합니다. 이러한 삶을 살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도합니다.
맥체인 성경통독
여호수아 6장 6절 - 27절, 시편 137, 138편
이사야 66장, 마태복음 14장

오늘의 암송 요절
A-12. 로마서 1:16.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 로다.
I am not ashamed of the gospel, because it is the power of God for the salvation of everyone who believes: first for the Jew, then for the Gent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