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5장 20-34절
20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21 사망이 한 사람으로 말미암았으니 죽은 자의 부활도 한 사람으로 말미암는도다
22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
23 그러나 각각 자기 차례대로 되리니 먼저는 첫 열매인 그리스도요 다음에는 그가 강림하실 때에 그리스도에게 속한 자요
24 그 후에는 마지막이니 그가 모든 통치와 모든 권세와 능력을 멸하시고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칠 때라
25 그가 모든 원수를 그 발 아래에 둘 때까지 반드시 왕 노릇 하시리니
26 맨 나중에 멸망 받을 원수는 사망이니라
27 만물을 그의 발 아래에 두셨다 하셨으니 만물을 아래에 둔다 말씀하실 때에 만물을 그의 아래에 두신 이가 그 중에 들지 아니한 것이 분명하도다
28 만물을 그에게 복종하게 하실 때에는 아들 자신도 그 때에 만물을 자기에게 복종하게 하신 이에게 복종하게 되리니 이는 하나님이 만유의 주로서 만유 안에 계시려 하심이라
29 만일 죽은 자들이 도무지 다시 살아나지 못하면 죽은 자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는 자들이 무엇을 하겠느냐 어찌하여 그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느냐
30 또 어찌하여 우리가 언제나 위험을 무릅쓰리요
31 형제들아 내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서 가진 바 너희에 대한 나의 자랑을 두고 단언하노니 나는 날마다 죽노라
32 내가 사람의 방법으로 에베소에서 맹수와 더불어 싸웠다면 내게 무슨 유익이 있으리요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지 못한다면 내일 죽을 터이니 먹고 마시자 하리라
33 속지 말라 악한 동무들은 선한 행실을 더럽히나니
34 깨어 의를 행하고 죄를 짓지 말라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자가 있기로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기 위하여 말하노라
본문에서 바울은 우리가 부활 한다는 사실을 예수님을 통해서 다시 말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부활의 첫 열매가 되셨기 때문에 이제 예수님 이후로 믿음 안에서 죽는 사람은 다시 부활 할 것이라고 강하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가 오해할 만한 말씀이 29절에 나옵니다. 29절을 다시 읽으면 “29 만일 죽은 자들이 도무지 다시 살아나지 못하면 죽은 자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는 자들이 무엇을 하겠느냐 어찌하여 그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느냐” 고 합니다. 30절의 말씀은 오해가 없습니다. 우리가 위험을 무릅쓰며 복음을 증거하는 이유는 부활 할 사실을 확실하게 믿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29절의 말씀은 마치 예수님을 믿지 않고 죽은 사람도 그 사람을 위해서 누군가 침례를 받으면 그사람도 구원받아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말씀으로 들립니다. 이 본문은 수 많은 해석이 있고, 가톨릭과 몰몬교에서는 죽은 자를 위해서 기도하거나 침례를 받으면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하며 지금도 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분명한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성경 전체를 통해서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한가지 사실을 구원은 타인에 의해서 주어지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바울도 다른 여러 서신서를 통해서 구원은 본인의 믿음으로만 받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 본문은 그러한 맥락 가운데 해석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본문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자료를 찾아 보면 이 말씀에 대한 해석은 크게 세 부류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고린도에는 실제로 죽은 자를 위해서(또는 죽은 자를 대신해서) 침례를 받는 종교 풍습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은 교회에서 행해진 일이 아니라 헬라 종교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행해졌고, 그들은 영혼불멸에 대해 믿었기 때문에 죽은 자를 위해서 대신 세례받는 일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바울이 이러한 이방 종교의 일을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바울이 부활을 증거하기 위해서 그들이 주변에서 행하고 있는 일을 예로 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둘째로 고린도 교회에서 실제로 주를 위해 죽은(순교 당한)성도들을 위해서 침례를 베푼 일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고린도 교회가 침례를 받지 않고 주님을 위해 순교 당한 사람들을 위해 침례를 베푼 일이 있었으며, 바울이 이 구절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러한 예식이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침례식은 주 안에서 죽은 자들이 다시 살아날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바울이 부활을 증거하는 사례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셋째로, 글리아슨 아처와 같은 학자는 이 구절을 "죽은 자들로 인해서"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이 구절이 그리스도 안에서 훌륭한 삶을 살다가 죽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아서 침례를 받은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한 그리스도인이 살아있을 때에 주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는데, 복음을 받은 사람이 전한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주님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결국 그 그리스도인이 먼저 죽어 주님께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이때에 세상에 살아남은 유족들은 먼저 하늘나라로 가신 고인의 영향을 받아 예수를 믿고 침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바로 "죽은 자로 인해서", 즉 "죽은 자의 영향을 받아" 침례를 받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어느 해석을 지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견해에 맡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신중하게 본문의 의미를 생각해 보면, 성경 전체의 내용과 아무런 충돌이 없이 본문을 해석할 수 있는 길이 여러 가지로 열려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이러한 해석을 떠나서 성경 전체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해석을 선택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경을 기록하게 해 주신 성령과 사도 바울을 통해서 역사하신 성령님은 동일한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biblenara.org/q&a/Q163.htm)
오늘 본문의 내용중에서 많이 논쟁되고 있는 29절의 말씀을 집중해서 여러 해석을 말씀 드렸는데, 사실 이처럼 성경을 읽다보면 이해하고 해석하기 난해한 구절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원본 성경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에 중간에 성경을 편집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편집자의 의도가 들어간 경우도 있고, 당시의 풍속이나, 시대 상황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성경을 읽을 때 큰 숲과 나무를 동시에 봐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의 크신 뜻을 파악하고, 그 뜻 안에서 구체적인 사안들을 해석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으로 죽은 사람을 위해서 기도하거나, 침례를 받으면 그도 구원 받는 다는 해석은 큰 숲의 관점에서 있을 수 없는 해석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뜻 안에서 이 본문을 해석해야 합니다.
나아가 이 본문에 집중하여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바울이 왜 이렇게 부활을 증명하려 애쓰는지 파악하고, 부활 신앙을 가진 바울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생각하며 “나를 본 받으라"고 한 바울의 말처럼 바울의 삶을 조금이라도 본 받는 하루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맥체인 성경 통독
신명기 31장, 시편 119편 97-120절
이사야 58장, 마태복음 6장
오늘의 암송 요절
A-5. 디모데후서 3:16.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and is useful for teaching, rebuking, correcting and training in righte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