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1일
- ncyeollin
- 1일 전
- 3분 분량

[슥6:1-15] 1 내가 또 눈을 들어 본즉 네 병거가 두 산 사이에서 나오는데 그 산은 구리 산이더라
2 첫째 병거는 붉은 말들이, 둘째 병거는 검은 말들이,
3 셋째 병거는 흰 말들이, 넷째 병거는 어룽지고 건장한 말들이 메었는지라
4 내가 내게 말하는 천사에게 물어 이르되 내 주여 이것들이 무엇이니이까 하니
5 천사가 대답하여 이르되 이는 하늘의 네 바람인데 온 세상의 주 앞에 서 있다가 나가는 것이라 하더라
6 검은 말은 북쪽 땅으로 나가고 흰 말은 그 뒤를 따르고 어룽진 말은 남쪽 땅으로 나가고
7 건장한 말은 나가서 땅에 두루 다니고자 하니 그가 이르되 너희는 여기서 나가서 땅에 두루 다니라 하매 곧 땅에 두루 다니더라
8 그가 내게 외쳐 말하여 이르되 북쪽으로 나간 자들이 북쪽에서 내 영을 쉬게 하였느니라 하더라
9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10 사로잡힌 자 가운데 바벨론에서부터 돌아온 헬대와 도비야와 여다야가 스바냐의 아들 요시아의 집에 들어갔나니 너는 이 날에 그 집에 들어가서 그들에게서 받되
11 은과 금을 받아 면류관을 만들어 여호사닥의 아들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머리에 씌우고
12 말하여 이르기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싹이라 이름하는 사람이 자기 곳에서 돋아나서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라
13 그가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고 영광도 얻고 그 자리에 앉아서 다스릴 것이요 또 제사장이 자기 자리에 있으리니 이 둘 사이에 평화의 의논이 있으리라 하셨다 하고
14 그 면류관은 헬렘과 도비야와 여다야와 스바냐의 아들 헨을 기념하기 위하여 여호와의 전 안에 두라 하시니라
15 먼 데 사람들이 와서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니 만군의 여호와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줄을 너희가 알리라 너희가 만일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진대 이같이 되리라
오늘 본문에는스가랴가 보았던 8번째 마지막 환상이 나옵니다. 1절에서 스가랴는 두 개의 구리 산에서 네 개의 병거(전차)가 나오는 장면을 보게 됩니다. 이 병거는 ‘붉은 색, 검은 색, 흰 색, 얼룩색’의 말들이 각각 끌고 있었습니다. 4-5절에 스가랴가 ‘이것들이 무엇이냐’고 천사에게 물어보니, 천사가 ‘이는 하늘의 네 바람인데, 온 세상의 주 앞에 서 있다가 나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병거들은 바람인데, 바람은 성경에서 영을 의미하며, 곧 천사들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6-7절에 하나님의 명령을 받은 이 병거들은, 검은 말은 북쪽(바벨론)으로 나가고, 흰말을 그 뒤를 따르고, 어룽진(얼룩색) 말은 남쪽 땅(애굽)으로 나가고, 건장한 말은 나가서 땅에 두루 다닌다고 합니다. 병거가 이끄는 말들의 색깔은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 또는 방법을 상징합니다. 붉은 색은 ‘전쟁과 피 흘림, 진노의 심판’을 상징하며, 검은색은 ‘곤고함과 죽음과 슬픔’을 상징합니다. 흰색은 ‘승리와 번영’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얼룩색은 ‘기근과 질병의 혼합’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어룽진 말이 건장하다고 하는 것은 심판의 완전성과 철저함을 상징합니다.
9절부터 15절까지는 여호수아의 대관식이라고 일컬어집니다. 여기에 포로 귀환자들인 ‘헬대(헬렘), 도비야, 여다야, 요시야, 헨’이 등장합니다. 하나님은 이들에게서 은과 금을 취해서 면류관을 만들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그 면류관을 당시 대제사장이었던 여호수아에게 씌우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들은 포로 귀환 당시, 하나님의 일을 추진하도록 물질적 헌신을 했던 사람들로 보여집니다. 당시 성전을 재건해야 하는데, 시작조차 할 수 없었던 상태가 있었습니다. 누구도 그 일을 시작하거나 감당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답답함도 있었고,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헌신적으로 성전재건을 위해 힘썼습니다. 그래서 14절에 그들이 헌신하여 만든 면류관은, 그들을 기념하기 위해 훗날 ‘여호와의 전’에 두라 하셨습니다. 여기서 말한 <성전재건은 말씀으로 지어가는 삶>입니다. 말씀으로 지어가는 삶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닙니다. 날마다 말씀으로 내 삶을 직면해야 합니다. 10절에 보시면 “사로잡힌 자 가운데 바벨론에서부터 돌아온” 사람들을 봅니다. 과거 이스라엘은 말씀으로 지어져가는 삶이 아니었기에, 죄악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거짓에, 욕심에, 추악한 죄악들”에 사로잡혀 가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우린 이것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우리가 은혜 받을 때를 생각해보십시오. 은혜를 받으면, 우린 그 은혜 속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말과 행동이 달라지면, 마음에 여유가 생기고 관점이 달라집니다. 그런데 이 은혜는 우리 삶 속에서 계속 지속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날마다 삶 속에서 성전재건을 시작하지 않을 때, 즉 말씀에서 떠날 때, 우리는 다시금 바벨론에 사로잡혀 가는 삶을 살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오늘 어떤 삶을 사시겠습니까? 과거에 얽매인 삶을 사시겠습니까? 아니면 말씀으로 지어지는 삶을 사시겠습니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