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 3장 1-11절
개역개정
1 내가 밤에 침상에서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찾았노라 찾아도 찾아내지 못하였노라
2 이에 내가 일어나서 성 안을 돌아다니며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거리에서나 큰 길에서나 찾으리라 하고 찾으나 만나지 못하였노라
3 성 안을 순찰하는 자들을 만나서 묻기를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너희가 보았느냐 하고
4 그들을 지나치자마자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만나서 그를 붙잡고 내 어머니 집으로, 나를 잉태한 이의 방으로 가기까지 놓지 아니하였노라
5 예루살렘 딸들아 내가 노루와 들사슴을 두고 너희에게 부탁한다 사랑하는 자가 원하기 전에는 흔들지 말고 깨우지 말지니라
6 몰약과 유향과 상인의 여러 가지 향품으로 향내 풍기며 연기 기둥처럼 거친 들에서 오는 자가 누구인가
7 볼지어다 솔로몬의 가마라 이스라엘 용사 중 육십 명이 둘러쌌는데
8 다 칼을 잡고 싸움에 익숙한 사람들이라 밤의 두려움으로 말미암아 각기 허리에 칼을 찼느니라
9 솔로몬 왕이 레바논 나무로 자기의 가마를 만들었는데
10 그 기둥은 은이요 바닥은 금이요 자리는 자색 깔개라 그 안에는 예루살렘 딸들의 사랑이 엮어져 있구나
11 시온의 딸들아 나와서 솔로몬 왕을 보라 혼인날 마음이 기쁠 때에 그의 어머니가 씌운 왕관이 그 머리에 있구나
표준새번역
1 여자: 나는 잠자리에서 밤새도록 사랑하는 나의 임을 찾았지만, 아무리 찾아도 그를 만나지 못하였다.
2 '일어나서 온 성읍을 돌아다니며 거리마다 광장마다 샅샅이 뒤져서 사랑하는 나의 임을 찾겠다'고 마음 먹고, 그를 찾아 나섰지만 만나지 못하였다.
3 성 안을 순찰하는 야경꾼들을 만나서 "사랑하는 나의 임을 못 보셨어요?" 하고 물으며,
4 그들 옆을 지나가다가, 드디어 사랑하는 나의 임을 만났다. 놓칠세라 그를 꼭 붙잡고, 나의 어머니의 집으로 데리고 갔다. 어머니가 나를 잉태하던 바로 그 방으로 데리고 갔다.
5 예루살렘의 아가씨들아, 노루와 들사슴을 두고서 부탁한다. 우리가 마음껏 사랑하기까지는, 흔들지도 말고 깨우지도 말아 다오.
6 거친 들을 헤치며, 연기 치솟듯 올라오는 저 사람은 누구인가? 몰약과 유향 냄새 풍기며, 장사꾼들이 가지고 있는 온갖 향수 냄새 풍기며 오는구나.
7 아, 솔로몬이 탄 가마로구나. 이스라엘 장사 가운데서도 빼어난 용사 예순 명이 그를 호위하는구나.
8 모두들 칼로 무장했구나. 전쟁에 익숙한 군인들이 야간 기습에 대비하여 저마다 허리에 칼을 찼구나.
9 솔로몬 왕은 그 가마를 레바논의 나무로 만들었구나.
10 기둥은 은으로 입히고, 닫집은 금으로 꾸미고, 자리에는 보랏빛 털을 깔았구나. 그 안은 사랑으로 가득 찼구나. 예루살렘의 아가씨들아,
11 시온의 딸들아, 나와서 보아라. 솔로몬 왕이다. 그가 결혼하는 날, 그의 마음이 한껏 즐거운 날, 어머니가 씌워 준 면류관을 쓰고 계시네.
(아가서 해석)
아가서에 대한 두 가지의 주요 해석이 있습니다. 하나는 “자연적 해석”인데, 이는 문자 그대로 솔로몬 왕과 술람미 여인 사이의 인간적인 사랑 이야기를 묘사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결혼 안에서의 깊은 사랑과 친밀감을 존중하고 영감을 주기 위해서 성경적 원리에 기초하여 쓰여진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연적 해석은 지난 몇 백 년 간 매우 일반적인 것이었습니다.
두 번째 해석 방법은 이야기를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해석입니다. 이 해석은 마치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제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비유로 가르치신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확고하게 드러난 진리들을 설명해 주는 것입니다. 상징적 해석은 지난 1,900 년 간 교회 역사 안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었습니다. 세 가지 다른 식의 상징적 해석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신랑이신 하나님과 그의 신부인 민족적 이스라엘 사이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입니다(예레미야 2:2, 호세아 2:16-20, 에스겔 16:8-38, 이사야 54:5-6). 이것은 구약 시대에 서기관들에 의한 해석이었고 오늘날에도 유대인 랍비들에 의한 접근 방법입니다.
둘째, 예수님과 역사를 통한 교회 연합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셋째, 예수님과 믿는 개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접근법은 예수님을 향한 우리의 열정을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적인 원리들을 제공합니다. 저는 아가서를 읽고 해석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같은 해석으로 아가서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세가지 신부 됨의 세 가지 본질을 배워야 하는데,
1. 예수님께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신분과 특권.- 친밀함(intimacy)
2. 사랑하는 예수님의 신부에 합당한 성품과 성숙. - 성숙함(maturity)
3. 예수님의 주님 되심에 순복하고 그 아래 살아가는 것 - 순복(submission)
입니다.
신부 됨의 첫 번째 본질은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 연료요 동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를 향한 예수님의 타오르는 열정을 발견할 때이고 친밀감 안에서 그분이 가깝다고 느낄 때입니다. 두 번째 본질은 우리가 감정적으로 성장하기를 배우는 것입니다. 그것은 은사와 리더십에서 성숙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것과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것에서 성숙해야 합니다. 세 번째 본질은 우리의 권리들, 요구들, 기대들, 명성, 시간 그리고 돈이 예수님의 주되심 아래 완전히 드려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신부의 성숙함의 위대한 표지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신부된 자로서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어떤 본질적인 모습을 배워야 할 지, 묵상하시며 나의 신앙 생활의 모습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Who’s Your One?
Day 30
Then I heard a loud voice from the throne: Look, God’s dwelling is with humanity, and he will live with them. They will be his peoples, and God himself will be with them and will be their God. He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their eyes. Death will be no more; grief, crying, and pain will be no more, because the previous things have passed away. Then the one seated on the throne said, “Look, I am making everything new.” He also said, “Write, because these words are faithful and true.” Then he said to me, “It is done! I am the Alpha and the Omega, the beginning and the end. I will freely give to the thirsty from the spring of the water of life. REVELATION 21:3–6, CSB
3 그 때에 나는 보좌에서 큰 음성이 울려 나오는 것을 들었습니다. "보아라, 하나님의 집이 사람들 가운데 있다.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계실 것이요,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다. 하나님이 친히 그들과 함께 계시고, 4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니, 다시는 죽음이 없고, 슬픔도 울부짖음도 고통도 없을 것이다. 이전 것들이 다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5 그 때에 보좌에 앉으신 분이 말씀하셨습니다. "보아라, 내가 모든 것을 새롭게 한다." 또 말씀하셨습니다. "기록하여라. 이 말은 신실하고 참되다." 6 또 나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다 이루었다. 나는 알파며 오메가, 곧 처음이며 마지막이다. 목마른 사람에게는 내가 생명수 샘물을 거저 마시게 하겠다.
Lord, I long for the day when You will make all things new. This world is broken, and I know You will come and recreate all things. I know You have set a day when Christ will return and do just that. I ask You to save _____________before that great day. Make him/her thirsty for the water of life You freely give. Use the witness of Your people to point him/her to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I know You are the Beginning and the End—the only hope for salvation for all people. So, I ask You to give ____________ new life in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