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5년 10월 23일



2025년 10월 23일 


[대하31:1-21]

1 이 모든 일이 끝나매 거기에 있는 이스라엘 무리가 나가서 유다 여러 성읍에 이르러 주상들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들을 찍으며 유다와 베냐민과 에브라임과 므낫세 온 땅에서 산당들과 제단들을 제거하여 없애고 이스라엘 모든 자손이 각각 자기들의 본성 기업으로 돌아갔더라

2 히스기야가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반열을 정하고 그들의 반열에 따라 각각 그들의 직임을 행하게 하되 곧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에게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여호와의 휘장 문에서 섬기며 감사하며 찬송하게 하고

3 또 왕의 재산 중에서 얼마를 정하여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번제 곧 아침과 저녁의 번제와 안식일과 초하루와 절기의 번제에 쓰게 하고

4 또 예루살렘에 사는 백성을 명령하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 몫의 음식을 주어 그들에게 여호와의 율법을 힘쓰게 하라 하니라

5 왕의 명령이 내리자 곧 이스라엘 자손이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과 꿀과 밭의 모든 소산의 첫 열매들을 풍성히 드렸고 또 모든 것의 십일조를 많이 가져왔으며

6 유다 여러 성읍에 사는 이스라엘과 유다 자손들도 소와 양의 십일조를 가져왔고 또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께 구별하여 드릴 성물의 십일조를 가져왔으며 그것을 쌓아 여러 더미를 이루었는데

7 셋째 달에 그 더미들을 쌓기 시작하여 일곱째 달에 마친지라

8 히스기야와 방백들이 와서 쌓인 더미들을 보고 여호와를 송축하고 그의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축복하니라

9 히스기야가 그 더미들에 대하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에게 물으니

10 사독의 족속 대제사장 아사랴가 그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백성이 예물을 여호와의 전에 드리기 시작함으로부터 우리가 만족하게 먹었으나 남은 것이 많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그의 백성에게 복을 주셨음이라 그 남은 것이 이렇게 많이 쌓였나이다

11 그 때에 히스기야가 명령하여 여호와의 전 안에 방들을 준비하라 하므로 그렇게 준비하고

12 성심으로 그 예물과 십일조와 구별한 물건들을 갖다 두고 레위 사람 고나냐가 그 일의 책임자가 되고 그의 아우 시므이는 부책임자가 되며

13 여히엘과 아사시야와 나핫과 아사헬과 여리못과 요사밧과 엘리엘과 이스마갸와 마핫과 브나야는 고나냐와 그의 아우 시므이의 수하에서 보살피는 자가 되니 이는 히스기야 왕과 하나님의 전을 관리하는 아사랴가 명령한 바이며

14 동문지기 레위 사람 임나의 아들 고레는 즐거이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을 맡아 여호와께 드리는 것과 모든 지성물을 나눠 주며

15 그의 수하의 에덴과 미냐민과 예수아와 스마야와 아마랴와 스가냐는 제사장들의 성읍들에 있어서 직임을 맡아 그의 형제들에게 반열대로 대소를 막론하고 나눠 주되

16 삼 세 이상으로 족보에 기록된 남자 외에 날마다 여호와의 전에 들어가서 그 반열대로 직무에 수종드는 자들에게 다 나눠 주며

17 또 그들의 족속대로 족보에 기록된 제사장들에게 나눠 주며 이십세 이상에서 그 반열대로 직무를 맡은 레위 사람들에게 나눠 주며

18 또 그 족보에 기록된 온 회중의 어린 아이들 아내들 자녀들에게 나눠 주었으니 이 회중은 성결하고 충실히 그 직분을 다하는 자며

19 각 성읍에서 등록된 사람이 있어 성읍 가까운 들에 사는 아론 자손 제사장들에게도 나눠 주되 제사장들의 모든 남자와 족보에 기록된 레위 사람들에게 나눠 주었더라

20 히스기야가 온 유다에 이같이 행하되 그의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선과 정의와 진실함으로 행하였으니

21 그가 행하는 모든 일 곧 하나님의 전에 수종드는 일에나 율법에나 계명에나 그의 하나님을 찾고 한 마음으로 행하여 형통하였더라


아하스 시대 성전이 폐쇄되고 제사가 폐해지자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은 제 역할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이들은 성전 제사를 통해 하나님께 드려진 예물을 받아 생활했습니다. 그러나 성전이 폐쇄되자 제사가 드려지지 않게 되었고 이들은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생계유지를 위해 일하러 가야 했고, 하나님의 일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이들이 하나님의 일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게 되자 백성들의 신앙은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진 것입니다. 

히스기야는 이런 상황에서 유월절을 복원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은 일회적 이벤트로 마무리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는 이런 상황을 잘 인식했고 유월절 행사가 종료된 후 제사장과 레위인들이 거주지로 돌아가기 전에 조직을 새롭게 정비합니다. 그리고 반열에 따라 성전 제사와 문지기로의 직분을 감당하게 합니다.

또한 히스기야는 성전 제사의 정상화를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그는 솔선수범하여 자신의 재산 중 일부를 떼어 성전 제사를 위한 일에 사용합니다. 아마도 백성들이 자신을 본받기 원했던 것 같습니다.

백성들도 히스기야의 이런 정책을 기뻐했습니다. 이는 왕의 명령이 내려지자 백성들이 곡식과 포도주, 기름과 꿀, 밭의 모든 소산의 첫 열매들을 풍성히 드린 것과 모든 것의 십일조를 드렸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백성들이 인색해하지 않고 하나님께 기쁨으로 드릴 수 있었던 것은 중단되었던 유월절 절기가 회복되고 히스기야를 중심으로 백성들의 중심이 하나님께로 향하자, 하나님께서 그들의 삶에 은혜를 베풀어 주셨기 때문입니다.

백성들이 하나님께 얼마나 많이 드렸던지 유대력으로 셋째 달부터는 더미가 쌓이기 시작했는데 일곱째 달까지 무려 5개월 동안 더미가 계속해서 쌓였습니다. 유대력으로 셋째 달은 우리가 사용하는 태양력으로 5, 6월경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 이스라엘은 맥추절을 보내게 되는데 그해 보리를 처음 수확하는 시기입니다. 이는 수확과 동시에 십일조가 드려졌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또한 유대력으로 일곱째 달은 태양력으로 9, 10월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 이스라엘은 모든 곡식을 다 수확하고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초막절 기간을 보냅니다. 유대력으로 일곱째 달까지 드렸다는 것은 백성들이 더 이상 드릴 것이 없을 때까지 힘써 하나님께 드렸음을 나타냅니다. 백성들이 받은 복은 그들의 노력이 아닌 하나님이 주신 복이었습니다. 이 사실을 아는 백성들은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드렸고, 이 광경을 목격한 히스기야는 하나님을 송축합니다.

드려진 십일조가 많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서 히스기야는 레위 사람 고나냐를 성물 보관 책임자로 임명합니다.  그리고 그와 함께 일하게 될 사람들의 명단이 소개됩니다. 이제 이들은 백성들이 하나님께 구별하여 드린 예물과 십일조를 잘 보관해야 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히스기야의 명령에 따라, 오랜 기간 방치되었던 성전 공간들을 정비했고 성물을 보관하기 적합한 장소가 되도록 했습니다. 이들은 이 일을 진행하며 성심을 다해 섬겼습니다.

이 모든 일이 마무리 된 후 본문은 “여호와 보시기에 선과 정의와 진실함으로 행하였으니”라는 말을 통해 히스기야의 개혁이 어떠했는지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그가 “여호와 앞에서” 행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고 그가 하나님 앞에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힘썼다는 사실도 드러냅니다. 그는 악과 불의와 거짓을 멀리하고 선과 정의와 진실을 행했습니다. 그는 무슨 일을 하든지 자기 뜻을 고집하지 않았고, 한결같이 하나님의 뜻만을 구했습니다. 그가 오롯이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길을 걸었기에 성전 정화와 제사 회복, 유월절 회복, 제사장 및 레위인 조직 정비, 십일조 제도 복원과 성물 분배의 일을 감당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 본문을 묵상하시며 우리는 여호와 보시기에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스스로 돌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시간과 공간, 그리고 물질을 가지고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삶을 살고 있는지 자신을 돌아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


ABOUT US

열린교회는 미국 남침례교단에 소속된

복음적인 교회입니다. ​ 

CONTACT

이메일: ncyeollin@gmail.com

카톡ID: yeollin

Phone: 919-323-2182

LOCATION

가정예배장소: 4029 Robious Ct. Cary, NC 27519

Website and contents © 2019 Yeollin Church   • Address: 10310 Chapel Hill Rd, Morrisville, NC • 2756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