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24:19-33]
19 여호수아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여호와를 능히 섬기지 못할 것은 그는 거룩하신 하나님이시요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시니 너희의 잘못과 죄들을 사하지 아니하실 것임이라
20 만일 너희가 여호와를 버리고 이방 신들을 섬기면 너희에게 복을 내리신 후에라도 돌이켜 너희에게 재앙을 내리시고 너희를 멸하시리라 하니
21 백성이 여호수아에게 말하되 아니니이다 우리가 여호와를 섬기겠나이다 하는지라
22 여호수아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여호와를 택하고 그를 섬기리라 하였으니 스스로 증인이 되었느니라 하니 그들이 이르되 우리가 증인이 되었나이다 하더라
23 여호수아가 이르되 그러면 이제 너희 중에 있는 이방 신들을 치워 버리고 너희의 마음을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향하라 하니
24 백성이 여호수아에게 말하되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우리가 섬기고 그의 목소리를 우리가 청종하리이다 하는지라
25 그 날에 여호수아가 세겜에서 백성과 더불어 언약을 맺고 그들을 위하여 율례와 법도를 제정하였더라
26 여호수아가 이 모든 말씀을 하나님의 율법책에 기록하고 큰 돌을 가져다가 거기 여호와의 성소 곁에 있는 상수리나무 아래에 세우고
27 모든 백성에게 이르되 보라 이 돌이 우리에게 증거가 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하신 모든 말씀을 이 돌이 들었음이니라 그런즉 너희가 너희의 하나님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이 돌이 증거가 되리라 하고
28 백성을 보내어 각기 기업으로 돌아가게 하였더라
29 이 일 후에 여호와의 종 눈의 아들 여호수아가 백십 세에 죽으매
30 그들이 그를 그의 기업의 경내 딤낫 세라에 장사하였으니 딤낫 세라는 에브라임 산지 가아스 산 북쪽이었더라
31 이스라엘이 여호수아가 사는 날 동안과 여호수아 뒤에 생존한 장로들 곧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행하신 모든 일을 아는 자들이 사는 날 동안 여호와를 섬겼더라
32 또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서 가져 온 요셉의 뼈를 세겜에 장사하였으니 이곳은 야곱이 백 크시타를 주고 세겜의 아버지 하몰의 자손들에게서 산 밭이라 그것이 요셉 자손의 기업이 되었더라
33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도 죽으매 그들이 그를 그의 아들 비느하스가 에브라임 산지에서 받은 산에 장사하였더라
여호수아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꺼냅니다. ‘너희는 여호와를 능히 섬기지 못할 것이다.’ 순종을 요구하면서 그들이 순종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이 돌출적인 발언에 대한 해석은 분분합니다. 이것은 일종의 풍자적 반어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동번역은 이러한 반어법의 뉘앙스를 반영하여 의문문으로 번역합니다: ‘야훼께서 얼마나 준엄하신 하느님이시데, 여러분이 감히 그를 섬기겠소?’ 더욱 강하게 순종을 촉구하는 역설적 표현입니다. 또한 쉬운 성경은 “여러분은 여호와를 잘 섬긴다고 하나 그렇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오.”라고 번역하며 섬김의 어려움을 강조했습니다.
여러 해석이 가능하지만, 여호수아는 하나님은거룩하시고 자비로우신 분이면서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심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질투는 인간이 느끼는 시기심에서 비롯된 질투와 다릅니다. 하나님의 질투는 거짓된 죽은 신들을 용납하지 않는, 참되고 유일하신 하나님의 정당한 권리 주장입니다. 사람은 다른 사람을 경쟁자로 시기하고 질투할 수 있으나, 하나님께서는 거짓 신들을 경쟁자로 여기실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질투는 거짓 신들을 숭배하는 자들에 대한 분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다른 신들을 섬기는 언약 백성의 잘못과 배교를 결코 용서하지 않으십니다(19-20).
여호수아의 축복과 저주의 선언을 듣고 백성(실제로 백성의 대표들)은 힘주어 단호하게 대답합니다. ‘결코 아닙니다. 우리는 여호와를 섬길 것입니다.’ 언약 체결식에서 합의와 동의를 뜻하는 상대편의 공개적인 아멘 응답은 필수적이었습니다. 그 자체로 언약 체결의 확증 표시며, 동의를 위해 대답을 했던 사람 자신이 언약의 증인입니다. 백성의 대답을 들은 여호수아는 여호와만을 섬기겠다고 대답한 그들이 오늘 스스로 증인이 되었다고 선언합니다. 회중 대표단도 화답하여 ‘우리가 증인이 되었나이다’라고 대답합니다(22). 이것은 언약 조약문에서 증거의 요소 중 하나입니다.
여호수아는 백성에게 하나님의 선물로 받은 땅에서 ‘아멘’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힘주어 말합니다. 언약 백성은 이방신들을 버리고 오직 하나님만을 따라야 합니다. 그들은 이제 그 땅을 얻었습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그 땅에서 사느냐입니다. 여호수아의 권고에는 경고가 깃들어 있습니다. 만일 그들이 타락과 부패의 길을 걸으며, 각종 신상들을 만들어 그것들을 섬긴다면 즉각 망할 것입니다. 백성은 재차 여호수아에게 ‘우리가 순종하겠습니다.’라고 다짐합니다.
여호수아의 요구에 화답한 이스라엘은 세겜에서 언약을 맺습니다. 이것은 또 하나의 언약 체결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8장의 세겜 언약의 재확립을 의미합니다. 여호수아는 이 언약을 재수립하면서 율례와 법도를 제정하고 ‘이 모든 말씀을 하나님의 율법책’에 기록합니다. 여기서 ‘제정하다’로 번역된 ‘심’은 ‘놓다’, ‘두다’라는 뜻의 동사인데 여호수아가 새로운 율법 조항을 만들었다기보다는 이미 반포된 율법들의 재확립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어서 여호수아는 언약 조약식의 요소 중 하나인 돌기둥을 세웁니다. 이 돌은 단지 추가적인 증거석으로 세워집니다(27). 돌기둥 세우는 의례와 더불어 모든 행사가 끝납니다. 원래 언약 체결식에서는 마지막에 성대한 예전과 더불어 많은 제물이 제단에 바쳐지면서 화목제의 잔치와 더불어 행사가 마무리 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 행사에서 아무런 제사도 바쳐지지 않습니다. 이것은 다시 한 번이 예식이 언약 체결식이 아닌 세겜 언약의 재확립과 그 언약의 준수를 다짐하기 위한 행사였음을 시사 합니다. 행사가 끝나자 여호수아의 해산 명령을 따라 각 지파의 대표들인 백성은 각자의 기업으로 돌아갔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과 맺었던 언약을 기억하십니까?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시고 구원하셨다는 확신이 있었을 때 하나님과 했던 언약이 있습니까? 만약 그 기억이 희미해 졌다면 오늘 다시 하나님과 언약을 다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나님만 섬기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