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눅5:27-39]
27 그 후에 예수께서 나가사 레위라 하는 세리가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나를 따르라 하시니
28 그가 모든 것을 버리고 일어나 따르니라
29 레위가 예수를 위하여 자기 집에서 큰 잔치를 하니 세리와 다른 사람이 많이 함께 앉아 있는지라
30 바리새인과 그들의 서기관들이 그 제자들을 비방하여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세리와 죄인과 함께 먹고 마시느냐
3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 데 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나니
32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
33 그들이 예수께 말하되 요한의 제자는 자주 금식하며 기도하고 바리새인의 제자들도 또한 그리하되 당신의 제자들은 먹고 마시나이다
34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혼인 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너희가 그 손님으로 금식하게 할 수 있느냐
35 그러나 그 날에 이르러 그들이 신랑을 빼앗기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36 또 비유하여 이르시되 새 옷에서 한 조각을 찢어 낡은 옷에 붙이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옷을 찢을 뿐이요 또 새 옷에서 찢은 조각이 낡은 것에 어울리지 아니하리라
37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가 쏟아지고 부대도 못쓰게 되리라
38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할 것이니라
39 묵은 포도주를 마시고 새 것을 원하는 자가 없나니 이는 묵은 것이 좋다 함이니라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은 본문은 마치 세가지 다른 이야기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처음에는 예수님과 레위와의 만남, 둘째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과의 논쟁 그리고 셋째는 새 포도주에 대한 비유의 말씀입니다. 그런데 저는 세 단락을 이어주는 한 주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다시 읽어 봤습니다. 그러니까 세 단락을 이어주는 한 주제어가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바로 ‘잔치’입니다.
첫째 단락은 레위의 큰 잔치입니다. 둘째 단락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못마땅한 잔치 입니다. 셋째 단락은 잔치의 주 재료인 포도주에 관련된 비유입니다.
여러분 잔치는 우리에게 상당히 중요한 주제입니다. 우리는 종말론 적으로는 천국 잔치를 기다리는 신부들 이기 때문에, 교회론 적으로는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모시고 있기 때문에 매일 같이 잔치를 열어야 하는 잔치 공동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단어가 바로 잔치입니다.
먼저 레위의 잔치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본문에 보면 레위는 큰 잔치를 벌였습니다. 왜 레위는 큰 잔치를 벌였을까요? 말씀을 그대로 보면 예수님을 위해서 잔치를 벌였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이제 막 인기가 올라가는 유명인이었습니다. 예수님은 많은 병자를 고치고 있었고 그의 가르침은 권위가 있었기 때문에 이제 그동네에서 예수는 유명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런 예수님을 위해서 잔치를 열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약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보통 예수님을 위해서 식사를 준비하는 것은 이해하겠는데 예수님을 위해서 잔치를 벌였다는 것은 약간 오버하는 느낌이 듭니다. 그런데 여러분... 레위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레위는 누구입니까? 세리입니다. 세리는 이당시 죄인 취급을 받았던 사람들입니다. 세리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서 세금을 취하여 로마에 줘야 했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리고 따로 월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로마에 내는 세금을 내고 남는 것으로 살아야 했기 때문에 늘 매국노라는 시선을 받았고, 착취자라는 취급을 받았던 자들입니다. 그러던 레위에게 예수님이 오셔서 나를 따라오라고 하셨습니다. 왜? 예수님이 그런 제안을 하셨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레위는 아마도 처음으로 인정 받는 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아무도 자기 자신을 알아주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알아주기는커녕 죄인처럼 취급당했습니다. 우리에게 있는 여러가지 욕구중 가장 강렬한 욕구가 인정의 욕구입니다. 사람은 인정 받기를 원합니다. 레위도 인정받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돈을 모으는 방법으로 밖에 인정 받을 수 없었던 사람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그에게 오셔서 그를 부르셨습니다. 그것도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사람들이 쫓아다니는 그 유명한 예수가 나에게 와서 인정하시며 따라오라고 부르신 것입니다. 잔치를 벌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자기처럼 남들에게 업신 여김을 당하던 죄인 취급 받던 다른 세리들을 불러 함께 식사하며 예수님을 소개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곳에는 늘 바리새인과 서기관 같은 분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예수를 지켜 봤습니다. 예수의 인기가 높아지니까 그를 잡아 넣을 궁리만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예수가 죄인들과 함께 식사하는 모습을 봤고 그것을 빌미 삼아 예수를 추궁합니다. 어떻게 죄인과 함께 식사합니까? 그들은 관습에 얽매여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분명 이웃을 사랑하라 하셨는데 그 사랑의 범위를 자신들이 좋아하는 이웃으로 한정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히 배척하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죄인들과 어울렸습니다. 단지 식사를 한 것이 아니라 그들과 어울렸습니다. 그런데 바리새인과 서기관은 예수님이 그들과 어울리는 꼴을 보지 못합니다. 그들은 잔치에 재를 뿌립니다. 보시오.. 예수님... 침례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새인들의 제자들은 자주 금식을 하는데 왜 당신은 금식을 하지 않소? 너무 애들 같은 투정입니다. 예수님은 이 투정을 받아 주셨습니다. 지금은 금식할 때가 아니다. 지금은 잔치 할 때라는 것입니다. 물론 때로 금식해야 하지만 동시에 중요한 것은 죄인이 돌아오는 것을 환영하고 잔치해야 하는 분위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때로 바리새인과 서기관과 같은 마음으로 사람들을 바라봅니다. 머야.. 이 분위기는 ... 우리가 이렇게 돈 쓸 때야?? 우리가 지금 금식기도 해도 시원치 않을 판국에…라는 마음으로 곱지 않은 시선을 갖고 보는 분들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어서 이 잔치에 가장 중요한 포도주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이 잔치에 어울리는 새로운 포도주 이십니다. 예수님은 잔치에 흥을 주시는 기쁨을 주시는 포도주 이십니다. 그런데, 이 새 포도주를 받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이 새로워 져야 합니다. 새 부대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낡은 생각, 낡은 믿음으로는 안됩니다. 믿음은 매일 점검 받아야 합니다. 어제의 믿음으로 오늘을 살아서는 오늘의 잔치를 이끌 수 없습니다. 여러분 잔치의 삶을 살기를 원하십니까? 성령의 바람으로, 성령의 충만함으로 내 마음의 부대가 새로워져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는 어떤가요? 우리의 삶은 이 같은 잔치의 연속인가요? 우리 삶에는 새 포도주를 담고 이 잔치를 이어 갈 하나님의 백성되기를 축복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