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눅1:57-80]
57 엘리사벳이 해산할 기한이 차서 아들을 낳으니
58 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
59 팔 일이 되매 아이를 할례하러 와서 그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사가랴라 하고자 하더니
60 그 어머니가 대답하여 이르되 아니라 요한이라 할 것이라 하매
61 그들이 이르되 네 친족 중에 이 이름으로 이름한 이가 없다 하고
62 그의 아버지께 몸짓하여 무엇으로 이름을 지으려 하는가 물으니
63 그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 다 놀랍게 여기더라
64 이에 그 입이 곧 열리고 혀가 풀리며 말을 하여 하나님을 찬송하니
65 그 근처에 사는 자가 다 두려워하고 이 모든 말이 온 유대 산골에 두루 퍼지매
66 듣는 사람이 다 이 말을 마음에 두며 이르되 이 아이가 장차 어찌 될까 하니 이는 주의 손이 그와 함께 하심이러라
67 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하여 이르되
68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며
69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70 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71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일이라
72 우리 조상을 긍휼히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셨으니
73 곧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하신 맹세라
74 우리가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받고
75 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
76 이 아이여 네가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일컬음을 받고 주 앞에 앞서 가서 그 길을 준비하여
77 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78 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79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치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 하니라
80 아이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며 이스라엘에게 나타나는 날까지 빈 들에 있으니라
오늘 본문은 침례 요한의 탄생에 관한 말씀입니다. 침례요한은 하나님의 섭리가 이루어질 것을 미리 알리기 위해 메시아보다 먼저 태어나 그 길을 평탄케 하는 사명을 받았습니다. 요한은 초기 기독교 문서에도 자주 등장하는 인물입니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으로 언변이 좋았던 아볼로는 침례요한의 제자였고(행 18:24-25), 바울은 소아시아의 에베소에서 침례요한을 따르는 무리들을 만났습니다(행 19:1-3). 이는 침례요한의 사후(死後)에도 그 영향력이 상당했음을 의미합니다. 본문을 기록한 누가도 자신이 기록하는 복음서의 서두에 침례요한을 비중 있게 다룸으로, 요한과 예수님의 사역에 관한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출생한 요한은 사가랴와 엘리사벳만의 기쁨이 아니었습니다. 58절에 보면 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고 기록합니다.
이제 태어난 요한에게 친족들과 마을 사람들은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려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요한의 이름을 아버지의 이름 따라 ‘사가랴’로 하려고 했습니다. 이 아이를 통해 부모의 아픔과 한이 해소되고 아이 없던 세월이 위로를 받으며, 사가랴 가문이 강성해질 것이라는 의미를 주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사가랴와 엘리사벳은 아이의 이름을 요한이라 짓겠다고 합니다. 요한은 반열의 차례대로 제사장 직무를 행하며 성전에서 분향하다가 기도하던 중 주의 사자가 명한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아이의 이름을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라는 의미의 당시 흔한 이름이던 요한으로 지으면서도 기쁨으로 여길 수 있었던 이유는, 사가랴와 엘리사벳의 믿음으로 인함입니다. 말을 못 하고 있던 사가랴도 서판에 요한이라고 기록하면서 이 아이를 오직 하나님의 사람으로만 키울 것이라 다짐했을 것입니다. 이 부부에게 아이의 출생은 단순한 생명의 탄생만이 아닌 부모로서의 온 삶과 정신이 오직 하나님의 섭리와 그 말씀에만 있겠다는 각오와 결단이기도 했습니다.
요한은 레위인으로 태어났습니다. 자신의 아버지가 제사장입니다. 그렇다면 요한은 성장하면서 당연히 성전과 관련된 일을 하던가, 아니면 할당된 성읍으로 파견되어 종교에 관련된 일을 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요한은 자라면서 심령이 강해져 성전이나 회당이 아닌, 빈 들로 나아갔다고 말씀합니다.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뒤에 오실 메시아를 위해 사람들에게 회개의 말씀을 전하는 사역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요한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이 그의 이름을 지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버지 사가랴의 허락 내지는 도움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가랴는 아들의 삶이 자신의 뜻이 아닌 하나님의 뜻 안에 있어야 함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주위 사람들이 레위인인 아들이 빈 들에 나가서 노숙자처럼 지내는 것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을 많이 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사가랴에게 중요한 것은 전통이 아니라, 이 아들을 통해 이루실 하나님의 뜻인 것입니다.
우리는 전통보다도 우선된 하나님의 뜻을 구해야 할 것입니다. 전통대로라면 ‘요한’의 이름은 ‘사가랴’여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집안 어른들도 다 좋아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전통보다 우선 적인 것이 아이의 이름을 요한이라고 부르신 하나님의 뜻입니다. 전통대로라면 레위인인 요한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제사장이 되던가, 아니면 레위인으로서 성전이나 회당에서 제사와 관련된 일을 해야만 했지만, 그 전통보다도 요한을 빈 들로 이끄신 하나님의 뜻이 더 중요한 것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