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19:24-51]
24 다섯째로 아셀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25 그들의 지역은 헬갓과 할리와 베덴과 악삽과
26 알람멜렉과 아맛과 미살이며 그 경계의 서쪽은 갈멜을 만나 시홀 림낫에 이르고
27 해 뜨는 쪽으로 돌아 벧 다곤에 이르며 스불론을 만나고 북쪽으로 입다 엘 골짜기를 만나 벧에멕과 느이엘에 이르고 가불 왼쪽으로 나아가서
28 에브론과 르홉과 함몬과 가나를 지나 큰 시돈까지 이르고
29 돌아서 라마와 견고한 성읍 두로에 이르고 돌아서 호사에 이르고 악십 지방 곁 바다가 끝이 되며
30 또 움마와 아벡과 르홉이니 모두 스물두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1 아셀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32 여섯째로 납달리 자손을 위하여 납달리 자손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33 그들의 지역은 헬렙과 사아난님의 상수리나무에서부터 아다미 네겝과 얍느엘을 지나 락굼까지요 그 끝은 요단이며
34 서쪽으로 돌아 아스놋 다볼에 이르고 그 곳에서부터 훅곡으로 나아가 남쪽은 스불론에 이르고 서쪽은 아셀에 이르며 해 뜨는 쪽은 요단에서 유다에 이르고
35 그 견고한 성읍들은 싯딤과 세르와 함맛과 락갓과 긴네렛과
36 아다마와 라마와 하솔과
37 게데스와 에드레이와 엔 하솔과
38 이론과 믹다렐과 호렘과 벧 아낫과 벧 세메스니 모두 열아홉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9 납달리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40 일곱째로 단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41 그들의 기업의 지역은 소라와 에스다올과 이르세메스와
42 사알랍빈과 아얄론과 이들라와
43 엘론과 딤나와 에그론과
44 엘드게와 깁브돈과 바알랏과
45 여훗과 브네브락과 가드 림몬과
46 메얄곤과 락곤과 욥바 맞은편 경계까지라
47 그런데 단 자손의 경계는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셈과 싸워 그것을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차지하여 거기 거주하였음이라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셈을 단이라 하였더라
48 단 자손의 지파가 그에 딸린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들의 마을들이었더라
49 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의 경계를 따라서 기업의 땅 나누기를 마치고 자기들 중에서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기업을 주었으니
50 곧 여호와의 명령대로 여호수아가 요구한 성읍 에브라임 산지 딤낫 세라를 주매 여호수아가 그 성읍을 건설하고 거기 거주하였더라
51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의 지파의 족장들이 실로에 있는 회막 문 여호와 앞에서 제비 뽑아 나눈 기업이 이러하니라 이에 땅 나누는 일을 마쳤더라
오늘 본문에는 아셀, 납달리, 단지파들의 기업분배 과정이 나와 있습니다. 하나님은 각 지파의 인구수에 따라, 그리고 이들의 지난 행적에 따라, 그리고 선친 야곱과 지도자 모세의 기도에 따라 가나안의 기업을 정해 주심으로써 지난 날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셨던 당신의 약속을 신실하게 이루어 주셨습니다.앞장서서 수고하였던 갈렙에게는 헤브론을 기업으로 안겨주셨고, 여호수아에게는 에브라임 산지 딤낫세라를 그의 기업으로 허락해 주셨습니다.
오늘 제가 주목하고 싶은 지파는 40절부터 나오는 단지파입니다. 단 지파는 이스라엘 12지파 가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제비를 뽑게 되었는데, 당시 이 단지파는 당시 인구 64,000명이라는 수에 비해 너무나도 좁은 땅을 기업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단지파가 받은 성읍들 중에는 아직도 아모리 족속의 원주민이나 블레셋 원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어서 또 다시 전쟁을 치러 쫓아내어야 하는 임무가 남은 지역이었습니다.
이렇게 인구수에 비해 좁은 땅을 기업으로 받은 단지파는 거기에 만족하지 아니하고, 레센이라는 지경으로 올라가 거기서 전쟁을 치러 땅을 확장시켰다고 성경은 따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장면이 47절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단 자손의 지경이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센을 쳐서 취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얻어 거기 거하였음이라 그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센을 단이라 하였더라"
47절만 읽으면 이스라엘 공동체의 지경을 넓힌 단 지파의 공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부분은 훗날 임하게 될 단 지파의 재앙의 시작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장치입니다.
단 지파가 새로 차지한 레센이라는 곳은 당시 라이스라고 불리던 곳으로(삿 18:7), 하나님이 정해 주신 땅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해 있던 곳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원래 계획은 단 지파에게 지중해 중앙 지역을 맡겨주심으로 아직 쫓아내지 못한 아모리와 블레셋 지파를 물리쳐 거기에 하나님의 나라가 세워지기를 기대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단 지파는 자기들의 인구수에 비해 너무 좁다는 이유로, 또 블레셋 족속과의 싸움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들은 레센이라는 곳으로 올라가 쉽게 승리를 쟁취했고, 그곳에 단 지파의 후손들이 기거할 것을 결정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선택은 오늘 본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단 지파의 멸망이라는 비극의 씨앗이 된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선택의 결과를 사사기 18장 1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고 단 지파는 이때에 거할 기업의 땅을 구하는 중이었으니 이는 그들이 이스라엘 지파 중에서 이때까지 기업의 땅 분배함을 얻지 못하였음이라" 단 지파는 사사시대에 이르러서도 자신들이 안정되게 거할 기업을 차지하지 못하고, 이곳 저곳을 기웃거리며 살아가는 떠돌이 지파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한때 라이스라고 하는 레센 지역을 거주지로 정하였지만, 하나님이 주신 기업에 만족할 줄 몰랐던 단 지파는 레센 지역에서도 또 떠나서 사사시대까지도 자신들의 거처를 제대로 정하지 못하여 유랑하는 지파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또 이들 단 지파가 선택한 레센이라는 지역은 우상숭배의 중심지가 됩니다. 왕상 12:28-30절에 보시면, "이에 계획하고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 하고 하나는 벧엘에 두고 하나는 단에 둔지라 이 일이 죄가 되었으니 이는 백성들이 단까지 가서 그 하나에게 숭배함이더라" 고 말씀합니다.
여기에 나오는 단이 바로 레센이라는 지역으로 이스라엘이 남 유다와 북이스라엘로 갈라질 때 북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버리고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범죄할 때 그 금송아지 우상을 세워 놓은 곳입니다.
이러한 단 지파에 대해서 야곱은 창세기 49장 17절에서 예언하기를 "단은 길의 뱀이요 첩경의 독사리로다"라고 했습니다. 단 지파에 대하여 야곱이 뱀과 독사라는 단어를 쓰면서 예언한 이유는 단 지파가 사사 시대에 우상숭배를 처음으로 시도한 점,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의 기업을 버리고 스스로 선택한 레센이라는 단지역은 바로 이스라엘이 훗날 금송아지를 세운 지역이었다는 점에서 성경학자들은 유다자손에게서 그리스도가 태어나셨듯이, 단 지파에서 바로 적그리스도가 태어나지 않겠는가 조심스럽게 예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단 지파의 모습을 생각해 보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귀중한 신앙적 교훈을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단 지파가 하나님이 정해주신 기업을 버리고 레센이라는 곳에 올라간 것은 철병거를 가지고 있던 아모리와 블레셋과의 전쟁을 회피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래서 더 싸우기 쉽고 쉽게 이길 수 있는 레센이라는 넓은 문으로 올라가 버린 것입니다.이처럼 단 지파는 사명을 버리고 현실을 선택한 결과 결국 사사시대에 이르기까지도 안정되게 거할 땅 한평 제대로 얻지 못하고 떠돌아 다니는 지파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그런데, 이들은 사명보다는 현실을, 좁은 문보다는 가기 쉬운 넓은 문을, 하나님의 나라와 그 뜻보다는 세상을 먼저 생각했기에 결국 가나안에서 어떤 기업도 얻지 못하고, 떠돌아 다녔을 뿐만 아니라, 훗날 앗수르에 북이스라엘이 멸망당할 때 단 지파는 아예 존속자체가 힘들어 버릴 정도로 완전 피폐화 되어 버렸던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사명을 굳게 붙들고 있습니까?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