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14:1-15]
1 이것은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땅에서 받은 기업 곧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 지파의 족장들이 분배한 것이니라
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그들의 기업을 제비 뽑아 아홉 지파와 반 지파에게 주었으니
3 이는 두 지파와 반 지파의 기업은 모세가 요단 저쪽에서 주었음이요 레위 자손에게는 그들 가운데에서 기업을 주지 아니하였으니
4 이는 요셉의 자손이 므낫세와 에브라임의 두 지파가 되었음이라 이 땅에서 레위 사람에게 아무 분깃도 주지 아니하고 다만 거주할 성읍들과 가축과 재산을 위한 목초지만 주었으니
5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것과 같이 행하여 그 땅을 나누었더라
6 그 때에 유다 자손이 길갈에 있는 여호수아에게 나아오고 그니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이 여호수아에게 말하되 여호와께서 가데스 바네아에서 나와 당신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사람 모세에게 이르신 일을 당신이 아시는 바라
7 내 나이 사십 세에 여호와의 종 모세가 가데스 바네아에서 나를 보내어 이 땅을 정탐하게 하였으므로 내가 성실한 마음으로 그에게 보고하였고
8 나와 함께 올라갔던 내 형제들은 백성의 간담을 녹게 하였으나 나는 내 하나님 여호와께 충성하였으므로
9 그 날에 모세가 맹세하여 이르되 네가 내 하나님 여호와께 충성하였은즉 네 발로 밟는 땅은 영원히 너와 네 자손의 기업이 되리라 하였나이다
10 이제 보소서 여호와께서 이 말씀을 모세에게 이르신 때로부터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방황한 이 사십오 년 동안을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나를 생존하게 하셨나이다 오늘 내가 팔십오 세로되
11 모세가 나를 보내던 날과 같이 오늘도 내가 여전히 강건하니 내 힘이 그 때나 지금이나 같아서 싸움에나 출입에 감당할 수 있으니
12 그 날에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이 산지를 지금 내게 주소서 당신도 그 날에 들으셨거니와 그 곳에는 아낙 사람이 있고 그 성읍들은 크고 견고할지라도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내가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들을 쫓아내리이다 하니
13 여호수아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을 위하여 축복하고 헤브론을 그에게 주어 기업을 삼게 하매
14 헤브론이 그니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의 기업이 되어 오늘까지 이르렀으니 이는 그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온전히 좇았음이라
15 헤브론의 옛 이름은 기럇 아르바라 아르바는 아낙 사람 가운데에서 가장 큰 사람이었더라 그리고 그 땅에 전쟁이 그쳤더라
오늘 본문에는 유다 지파가 땅을 받는 모습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한 인물이 등장합니다. 갈렙입니다. 갈렙은 40년전에 가나안 땅에 정탐꾼을 보낼 때 갔었던 12명중의 한명입니다. 그때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가나안 땅을 정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애굽에서 나온 모든 사람이 광야에서 죽고 나서 가나안 정복 전쟁을 했지만, 여호수아와 갈렙만 가나안 땅을 밟을 수 있는 축복을 얻은 것입니다. 정복 전쟁을 치르고 난 후 갈렙이 여호수아에게 나아가 말합니다. “그 날에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이 산지를 지금 내게 주소서 당신도 그 날에 들으셨거니와 그 곳에는 아낙 사람이 있고 그 성읍들은 크고 견고할지라도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내가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들을 쫓아내리이다 하니” (14:12) 갈렙이 말하는 이산지는 정복되지 않은 헤브론 산지를 말합니다. 헤브론 산지는 살기에 편한 땅은 아닙니다. 지형이 험하고 요새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그곳은 영적으로 의미 있는 곳이었습니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사자를 만난 곳이 바로 헤브론입니다. 그리고 아브라함, 사라, 이삭과 리브가 그리고 야곱과 레아가 묻힌 땅이 바로 헤브론 입니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사자를 만났던 영적인 땅이고 조상들이 묻힌 땅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중요한 땅에 거인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땅의 옛 이름은 '기럇 아르바'입니다. 기럇은 성채나 요새를 뜻하고 아르바는 아낙 사람들 중에 가장 큰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가나안 정탐을 했던 사람들이 "거기서 네피림 후손인 아낙 자손의 거인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라고 말했습니다. 헤브론 산지는 요새이기 때문에 상당히 매력적인 땅입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그 땅은 정복하기 어려운 땅입니다. 그런데 왜 갈렙은 이 산지를 달라고 했을까요? 첫째는 약속의 땅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하나님은 갈렙이 발로 밟는 땅을 주겠다고 약속하셨고, 갈렙이 발로 밟았던 땅이 바로 헤브론 산지였습니다. 민수기 14장 24절에 보면 그러나 내 종 갈렙은 그 마음이 그들과 달라서 나를 온전히 따랐은즉 그가 갔던 땅으로 내가 그를 인도하여 들이리니 그의 자손이 그 땅을 차지하리라. 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갈렙에게 약속하셨습니다. 갈렙은 하나님의 약속은 변함없다는 사실을 믿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기가 끝까지 붙들고 가야 할 것은 하나님의 약속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갈렙은 이 산지를 달라고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또, 갈렙이 이 산지를 요구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 산지를 차지하는 일이 어려운 일이고 중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헤브론 산지는 전략적인 요충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땅을 차지하는 것은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영적으로, 전략적으로 가치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도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단 지파 같은 경우는 블레셋을 몰아내기 힘들어 자기 땅도 포기하는 일들이 생기는 상황입니다. 갈렙은 이때 용기를 낸 것입니다. 오늘 본문 12절을 보십시오. “그 날에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이 산지를 지금 내게 주소서 당신도 그 날에 들으셨거니와 그 곳에는 아낙 사람이 있고 그 성읍들은 크고 견고할지라도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내가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들을 쫓아내리이다 하니” 여기 보시면 견고할 지라도..라는 말이 나옵니다. 그는 어렵지만 그 땅을 달라고 일어선 것입니다. 갈렙이 이 산지를 달라고 한 것은 욕심이 나서 달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할 가치가 있어서.. 그 땅을 달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가장 많은 땅을 받았지만, 요단 동편처럼 쓸모 있는 땅이 아니라, 대부분 광야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갈렙은 하나님과의 약속을 믿었던 사람입니다. 갈렙은 아마도 이 땅이 어떤 땅이 될지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훗날 유다 지파가 얻은 헤브론 땅은 결국 그 위에 솔로몬에 의해서 하나님의 성전이 지어지게 됩니다. 그 곳에서 수많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예배하는 예배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곳에서 인류를 구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이 일어나게 되는 땅이 되었고 교회가 시작되는 땅이 되었습니다.
본문에는 갈렙의 이야기가 은혜롭게 기록되었습니다. 갈렙의 모습을 하나님이 기뻐하셨기 때문이죠. 갈렙은 좋지 않은 땅, 힘든 땅을 달라고 했습니다. 여호수아서를 읽다 보면 정복 전쟁에서 여호수아가 모든 가나안 족속을 전멸시키지 못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들이 정착해야 할 곳에는 아직도 남아있는 가나안 족속들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완벽한 진공 상태의 땅을 준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갈렙의 모습, 유다 지파의 모습이 우리에게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었다고 해서 완벽하게 좋은 세상이 열린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도 하나님 나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열심히 개척해야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