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9월 25일
[왕하13:1-13]
1 유다의 왕 아하시야의 아들 요아스의 제이십삼 년에 예후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십칠 년간 다스리며
2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가고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였으므로
3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노하사 늘 아람 왕 하사엘의 손과 그의 아들 벤하닷의 손에 넘기셨더니
4 아람 왕이 이스라엘을 학대하므로 여호아하스가 여호와께 간구하매 여호와께서 들으셨으니 이는 그들이 학대받음을 보셨음이라
5 여호와께서 이에 구원자를 이스라엘에게 주시매 이스라엘 자손이 아람 사람의 손에서 벗어나 전과 같이 자기 장막에 거하였으나
6 그들이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여로보암 집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고 그 안에서 따라 행하며 또 사마리아에 아세라 목상을 그냥 두었더라
7 아람 왕이 여호아하스의 백성을 멸절하여 타작 마당의 티끌 같이 되게 하고 마병 오십 명과 병거 열 대와 보병 만 명 외에는 여호아하스에게 남겨 두지 아니하였더라
8 여호아하스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과 그의 업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9 여호아하스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사마리아에 장사되고 그 아들 요아스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10 유다의 왕 요아스의 제삼십칠 년에 여호아하스의 아들 요아스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십육 년간 다스리며
11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모든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고 그 가운데 행하였더라
12 요아스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과 유다 왕 아마샤와 싸운 그의 업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13 요아스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이스라엘 왕들과 함께 사마리아에 장사되고 여로보암이 그 자리에 앉으니라
북 이스라엘에 끊이지 않은 죄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입니다. 여로보암의 죄는 어떤 죄일까요? 여로보암은 원래 솔로몬왕 때 노동부 장관역할을 하던 사람입니다. 솔로몬 시대에 성전 건축 뿐 아니라, 왕궁 건설, 지방 성벽 건설등 수 많은 건설을 하면서 백성들이 세금과 노동에 힘들어했기 때문에 솔로몬이 죽자 북 이스라엘 10파는 더이상 유다 지파의 왕을 섬길 수 없다 하여 독립을 선언하고 여로보암을 왕으로 추대한 것입니다. 그런데 왕이 된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에 간다면 그들의 마음이 예수 주인인 유다 왕 르호보암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걱정이 생겼습니다. 마음만 빼앗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예물을 가져가게 되면 경제적으로도 약해질 것을 염려한 것이죠. 그래서 그는 남쪽 끝 벧엘과 북쪽 끝 단에 금송아지를 둔 산당을 세웁니다. 그리고 이제는 예루살렘까지 갈 필요가 없다고 선언하고 금송아지를 예배하는 나라로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여로보암의 죄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예배를 이용한 것입니다. 그는 유다에서 행하는 절기와 비슷한 절기를 만들어 여덟째 달 보름날을 절기로 정하고 벧엘에다 세운 제단에서, 그가 만든 송아지들에게 제사를 드렸으며, 제사를 집행할 제사장들도 임명합니다. (열왕기상 12장 32절)
여로보암은 자기 맘대로 사이비 종교를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금송아지를 섬기게 되면서 가장 먼저 왕이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는 왕이 되었고, 그 뒤로 모든 왕들이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가게 된 것입니다. 열왕기하 17장 22-23절에 보면 여로보암의 죄는 북 이스라엘이 앗수르에게 멸망할 때까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2 이스라엘 자손이 여로보암이 행한 모든 죄를 따라 행하여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므로 23 여호와께서 그의 종 모든 선지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대로 드디어 이스라엘을 그 앞에서 내쫓으신지라 이스라엘이 고향에서 앗수르에 사로잡혀 가서 오늘까지 이르렀더라”
여로보암은 예배를 이용해서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백성들이 남 유다로 내려가지 않게되는 효과는 탁월했기 때문에 모든 왕이 그의 죄를 그대로 따라 한 것입니다. 우리도 욕심을 내려 놓지 않으면 하나님이 아닌 우상을 섬기게 됩니다. 그리고, 그 우상이 이어지게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