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37:11-21]
11 갈대아인의 군대가 바로의 군대를 두려워하여 예루살렘에서 떠나매
12 예레미야가 베냐민 땅에서 백성 가운데 분깃을 받으려고 예루살렘을 떠나 그리로 가려 하여
13 베냐민 문에 이른즉 하나냐의 손자요 셀레먀의 아들인 이리야라 이름하는 문지기의 우두머리가 선지자 예레미야를 붙잡아 이르되 네가 갈대아인에게 항복하려 하는도다
14 예레미야가 이르되 거짓이다 나는 갈대아인에게 항복하려 하지 아니하노라 이리야가 듣지 아니하고 예레미야를 잡아 고관들에게로 끌어 가매
15 고관들이 노여워하여 예레미야를 때려서 서기관 요나단의 집에 가두었으니 이는 그들이 이 집을 옥으로 삼았음이더라
16 예레미야가 뚜껑 씌운 웅덩이에 들어간 지 여러 날 만에
17 시드기야 왕이 사람을 보내어 그를 이끌어내고 왕궁에서 그에게 비밀히 물어 이르되 여호와께로부터 받은 말씀이 있느냐 예레미야가 대답하되 있나이다 또 이르되 왕이 바벨론의 왕의 손에 넘겨지리이다
18 예레미야가 다시 시드기야 왕에게 이르되 내가 왕에게나 왕의 신하에게나 이 백성에게 무슨 죄를 범하였기에 나를 옥에 가두었나이까
19 바벨론의 왕이 와서 왕과 이 땅을 치지 아니하리라고 예언한 왕의 선지자들이 이제 어디 있나이까
20 내 주 왕이여 이제 청하건대 내게 들으시며 나의 탄원을 받으사 나를 서기관 요나단의 집으로 돌려보내지 마옵소서 내가 거기에서 죽을까 두려워하나이다
21 이에 시드기야 왕이 명령하여 예레미야를 감옥 뜰에 두고 떡 만드는 자의 거리에서 매일 떡 한 개씩 그에게 주게 하매 성중에 떡이 떨어질 때까지 이르니라 예레미야가 감옥 뜰에 머무니라
오늘 본문의 역사적 배경은 바벨론 군대가 애굽의 참전으로 잠시 예루살렘의 포위를 풀었던 시기입니다. 이때 유다 땅에는 일시적인 평온이 찾아 왔습니다. 유다의 귀족들은 바벨론 군대가 철수했다고 생각하고 풀어주었던 노예들을 다시 불러들였습니다 (34장 11절). 이 무렵에 예레미야는 베냐민 땅 아나돗으로 여행하려고 떠나는 중이었고(12절) 이 때 경비병 이리야에게 붙잡히게 됩니다. 예레미야가 아나돗으로 여행하려 했던 이유는 32장에 언급된 숙부 하나멜의 밭을 구매하는 것과 관련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리야는 예레미야가 평소에 유다 백성들에게 항복하라고 외쳤기 때문에 바벨론에 항복하러 간다고 생각하고 체포한 것입니다.
체포당한 예레미야는 고관들 앞에 끌려갔고 그들은 예레미야를 때려서 서기관 요나단의 집에 가둡니다. 그 집은 옥으로 사용되었고 예레미야는 뚜껑 씌운 웅덩이에 갇혀 있게 됩니다. 이때 시드기야는 상황이 어렵게 되자 예레미야에게 조언을 요청합니다. 시드기야는 여호와께로부터 받은 말씀이 있는지 비밀히 묻습니다. 시드기야는 호의적인 메시지를 기대했지만, 예레미야의 대답은 역시 바벨론에 항복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시드기야는 예레미야의 항복에 대한 권유를 받아들이고자 하는 마음이 어느정도 있었지만, 친 애굽파 대신들을 두려워한 나머지 결정을 내리지 못합니다. 시드기야는 어느정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이 있었지만, 결국 예레미야의 제안을 받아들일 의지가 없었습니다. 예레미야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다른 예언자들과 달리 진실을 선포했음을 강조하며 요나단의 집으로 돌려 보내지 않기를 청합니다. 이에 시드기야는 예레미야를 시위대 뜰로 옮기고 그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아량을 베풉니다.
시드기야는 예레미야를 신뢰했습니다. 그를 찾아 하나님의 말씀을 물었고, 그에게 아량도 베풉니다. 하지만, 결국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말씀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여호야김은 두루마리를 불에 태우며 하나님께 반항했지만, 시드기야는 두려워하면서도 교묘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거절합니다. 문제가 있을 때는 하나님을 찾는 것 같지만 결국 자기 뜻대로 살아가는 것이죠. 혹시 우리는 어떻습니까? 듣기 편한 말씀, 듣고 싶은 말씀만 경청하고, 어려울 때만 하나님을 찾는 것은 아닌지요? 하나님은 우리가 필요할 때 찾아 돈을 넣고 음료수를 빼먹는 자판기가 아닙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경청하는 삶 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