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14:1-9]
1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네가 불의함으로 말미암아 엎드러졌느니라
2 너는 말씀을 가지고 여호와께로 돌아와서 아뢰기를 모든 불의를 제거하시고 선한 바를 받으소서 우리가 수송아지를 대신하여 입술의 열매를 주께 드리리이다
3 우리가 앗수르의 구원을 의지하지 아니하며 말을 타지 아니하며 다시는 우리의 손으로 만든 것을 향하여 너희는 우리의 신이라 하지 아니하오리니 이는 고아가 주로 말미암아 긍휼을 얻음이니이다 할지니라
4 내가 그들의 반역을 고치고 기쁘게 그들을 사랑하리니 나의 진노가 그에게서 떠났음이니라
5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 그가 백합화 같이 피겠고 레바논 백향목 같이 뿌리가 박힐 것이라
6 그의 가지는 퍼지며 그의 아름다움은 감람나무와 같고 그의 향기는 레바논 백향목 같으리니
7 그 그늘 아래에 거주하는 자가 돌아올지라 그들은 곡식 같이 풍성할 것이며 포도나무 같이 꽃이 필 것이며 그 향기는 레바논의 포도주 같이 되리라
8 에브라임의 말이 내가 다시 우상과 무슨 상관이 있으리요 할지라 내가 그를 돌아보아 대답하기를 나는 푸른 잣나무 같으니 네가 나로 말미암아 열매를 얻으리라 하리라
9 누가 지혜가 있어 이런 일을 깨달으며 누가 총명이 있어 이런 일을 알겠느냐 여호와의 도는 정직하니 의인은 그 길로 다니거니와 그러나 죄인은 그 길에 걸려 넘어지리라
호세아서 14장은 호세아서의 마지막 장으로 회복의 예언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장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부분은 1-3절까지로 “회개로의 초대”이고 둘째 부분은 4-8절로 “회복의 약속”이빈다.
하나님은 호세아를 통해서 회개를 촉구합니다. 1절을 다시 읽겠습니다.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네가 불의함으로 말미암아 엎드러졌느니라” 여기서 불의함은 지속적인 범죄를 의미합니다. 계속해서 범죄하고도 회개하지 않음으로 인해 엎드러질 수 밖에 없음을 선포합니다. 이제 이스라엘 백성의 멸망은 기정 사실이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마지막으로 호세아 선지자는 세가지로 회개할 것을 촉구합니다.
첫째는 죄를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죄를 인정하는 것은 참된 회개의 출발점입니다.
둘째는 죄에서 떠나라 합니다. 2절입니다. “너는 말씀을 가지고 여호와께로 돌아와서 아뢰기를 모든 불의를 제거하시고 선한 바를 받으소서 우리가 수송아지를 대신하여 입술의 열매를 주께 드리리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죄를 인정했다면 이제는 그 말씀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가서 그 죄에서 떠나라는 말씀입니다. 진정한 회개는 죄를 인정하는 것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죄를 떠나는 것입니다. 죄를 포기해야 합니다. 2절 마지막 부분에 우리가 수송아지를 대신하여 입술의 열매를 주께 드리리이다 고 합니다. 이는 입술의 열매인 ‘찬양’을 드리겠다는 것입니다. 진정한 회개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죄에 빠져 있을 때는 찬양이 말라 버립니다. 반대로 회개의 증거 중의 하나가 찬양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하나님의 긍휼을 의지하는 것입니다. 3절입니다. “우리가 앗수르의 구원을 의지하지 아니하며 말을 타지 아니하며 다시는 우리의 손으로 만든 것을 향하여 너희는 우리의 신이라 하지 아니하오리니 이는 고아가 주로 말미암아 긍휼을 얻음이니이다 할지니라” 이스라엘의 모습이 마치 고아와 같았음을 고백합니다. 고아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아버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긍휼하심과 사랑을 구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회개입니다. 회개는 죄를 인정하고 죄에서 떠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 만으로는 온전한 회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회개는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돌아와 하나님을 의존하며 사는 것입니다. 그분의 긍휼, 그분의 은혜, 그분의 사랑을 마음 다해 의지하는 것이 진정한 회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회개한 자들에게 하나님은 회복을 약속하십니다. 본문에서 세가지 회복을 말씀합니다. 첫째로, 하나님의 간섭으로 회복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4절에 “내가 그들의 반역을 고치고”라고 말씀합니다. 반역은 ‘불성실’, 그리고 ‘방황’으로 번역되는 단어입니다. 하나님께 불성실한 삶을 살고 방황하는 자들을 고친다고 약속합니다. 둘째로, 하나님의 사랑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4절에 보시면 “기쁘게 그들을 사랑하리니”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기쁘게 사랑한다 하십니다. 죄를 범하고 방황하던 자들이 돌아오면 기쁘게 사랑한다 약속합니다. 집나간 둘째 아들이 돌아오기를 문 밖에서 기다리던 아버지의 모습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기쁘게 사랑하십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나님은 축복하십니다. 5절에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라고 하십니다. 이슬은 건기가 많은 이스라엘 지역이 생존할 수 있는 수분을 공급하는 생명과 같은 존재입니다. 하나님은 이슬과 같이 꼭 필요한 사랑을 주시겠다고 약속합니다.
여러분, 하나님의 회복을 경험하셨습니까? 우리가 회개하며 하나님 품에 안길 때 회복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질 것이고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