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4년 12월 2일

작성자 사진: ncyeollinncyeollin




[호13:1-16]

1 에브라임이 말을 하면 사람들이 떨었도다 그가 이스라엘 중에서 자기를 높이더니 바알로 말미암아 범죄하므로 망하였거늘

2 이제도 그들은 더욱 범죄하여 그 은으로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부어 만들되 자기의 정교함을 따라 우상을 만들었으며 그것은 다 은장색이 만든 것이거늘 그들은 그것에 대하여 말하기를 제사를 드리는 자는 송아지와 입을 맞출 것이라 하도다

3 이러므로 그들은 아침 구름 같으며 쉬 사라지는 이슬 같으며 타작 마당에서 광풍에 날리는 쭉정이 같으며 굴뚝에서 나가는 연기 같으리라

4 그러나 애굽 땅에 있을 때부터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라 나 밖에 네가 다른 신을 알지 말 것이라 나 외에는 구원자가 없느니라

5 내가 광야 마른 땅에서 너를 알았거늘

6 그들이 먹여 준 대로 배가 불렀고 배가 부르니 그들의 마음이 교만하여 이로 말미암아 나를 잊었느니라

7 그러므로 내가 그들에게 사자 같고 길 가에서 기다리는 표범 같으니라

8 내가 새끼 잃은 곰 같이 그들을 만나 그의 염통 꺼풀을 찢고 거기서 암사자 같이 그들을 삼키리라 들짐승이 그들을 찢으리라

9 이스라엘아 네가 패망하였나니 이는 너를 도와 주는 나를 대적함이니라

10 전에 네가 이르기를 내게 왕과 지도자들을 주소서 하였느니라 네 모든 성읍에서 너를 구원할 자 곧 네 왕이 이제 어디 있으며 네 재판장들이 어디 있느냐

11 내가 분노하므로 네게 왕을 주고 진노하므로 폐하였노라

12 에브라임의 불의가 봉함되었고 그 죄가 저장되었나니

13 해산하는 여인의 어려움이 그에게 임하리라 그는 지혜 없는 자식이로다 해산할 때가 되어도 그가 나오지 못하느니라

14 내가 그들을 스올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스올아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눈 앞에서 숨으리라

15 그가 비록 형제 중에서 결실하나 동풍이 오리니 곧 광야에서 일어나는 여호와의 바람이라 그의 근원이 마르며 그의 샘이 마르고 그 쌓아 둔 바 모든 보배의 그릇이 약탈되리로다

16 사마리아가 그들의 하나님을 배반하였으므로 형벌을 당하여 칼에 엎드러질 것이요 그 어린 아이는 부서뜨려지며 아이 밴 여인은 배가 갈라지리라


오늘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의 죄악상을 잘 말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범죄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는 자기 자신을 높이는 죄입니다. 하나님이 어떤 사람을 혹은 어떤 민족을 높여 주셨다면 그것만큼 영광스러운 일도 없을 것입니다. 성경도 이같은 일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자기 스스로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성경이 가르칩니다. 그런데 에브라함이 바로 이러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1절입니다. “그가 이스라엘 중에서 자기를 높이더니…” 에브라임은 북 이스라엘 열 지파 가운데서도 가장 강력한 지파였습니다. 여호수아가 바로 에브라임 지파 사람이었습니다. 또 북 이스라엘의 초대왕인 여로보암1, 2세도 에브라임 사람이었고, 이 때 강력한 통치력과 국력을 자랑했습니다. 그래서 1절에서 알 수 있듯이 에브라임이 말을 하면 사람들이 떨 정도로 권세가 대단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자기를 높이기 시작한 것입니다. 만일 그들이 누리는 부요함과 능력이 하나님께로부터 말이암은 것임을 알았다면 겸손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에브라임 지파는 자기를 높이는 죄를 범한 것입니다. 

둘째는 스스로를 높이는 데서 끝나지 않고 우상을 만드는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2절입니다. “이제도 그들은 더욱 범죄하여 그 은으로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부어 만들되 자기의 정교함을 따라 우상을 만들었으며.” 우리는 내 힘으로 내 지혜로 내 전략으로 내가 내 인생을 이루었다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때가 바로 교만과 타락이 둥지를 틀 때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도 바로 이럴 때 하나님을 떠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우상을 만들었습니다. 우상은 그들 자신의 지혜로 만든 신입니다. 그래서 우상이란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의 표현 혹은 자기 철학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죄성과 부패한 자존심 때문에 ‘하나님으로 말미암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싫어합니다. 그들은 ‘내가 했다’고 말하고 싶은 것입니다. 그들은 바알을 만들 때 금이나 은으로 했습니다. 금과 은이 상징하는 바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쌓아 놓은 물질을 상징합니다. 그렇게 바알을 만들고 거기에 입맞추며 “이 모든 축복은 내가 이뤄낸 일이다.”고 스스로 자랑스러워 한 것입니다. 결국 그들은 우상을 섬겼을 뿐 아니라 하나님을 대적하기 시작합니다. 9절 입니다. “이는 너를 도와 주는 나를 대적함이니라.” 

그렇다면 하나님은 그들의 죄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십니까/ 하나님은 호세아를 통해서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대응을 선포하십니다. 

먼저 하나님은 과거에 그들이 받은 은혜를 말씀하십니다. 6절에 “그들이 먹여 준 대로 배가 불렀고 배가 부르니..”라고 하십니다. 그들이 광야를 지나갈 때 하나님이 그드렝게 사랑과 은혜를 베푸셔서 잘 돌보아 주셨음을 말씀합니다. 

하지만, 현재 하나님은 그들의 죄악에 대해 분노하고 계십니다. 11절입니다. ‘내가 분노하므로 네게 왕을 주고 진노하므로 폐하였노라” 하십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들에게 희망의 말씀을 주십니다. 14절입니다. “내가 그들을 스올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스올아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눈 앞에서 숨으리라” 하나님은 분노에서 끝내지 않으시고 희망을 주십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죄를 그냥 모른척 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분노하십니다. 하지만 우리가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간다면 하나님은 죄를 용서하시고 우리에게 희망을 주십니다. 여러분, 하나님 앞에 죄를 숨기려 하지 마십시오. 하나님 외에 다른 것을 섬기는 일이 있다면 즉시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있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