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4년 11월 5일

작성자 사진: ncyeollinncyeollin




[딤전3:1-7]

1 미쁘다 이 말이여, 곧 사람이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함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 함이로다

2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오직 관용하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4 자기 집을 잘 다스려 자녀들로 모든 공손함으로 복종하게 하는 자라야 할지며

5 (사람이 자기 집을 다스릴 줄 알지 못하면 어찌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리요)

6 새로 입교한 자도 말지니 교만하여져서 마귀를 정죄하는 그 정죄에 빠질까 함이요

7 또한 외인에게서도 선한 증거를 얻은 자라야 할지니 비방과 마귀의 올무에 빠질까 염려하라


바울은 3장에서 교회에서 직분을 맡는 자는 어떤 삶의 모습을 갖춰야 할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합니다. 오늘 본문은 감독의 직분을 맡은 자에 대해서 말합니다. 여기서 감독은 어떤 직책일까요? 성서원어에는 장로라는 말로 ‘πρεσβυτεροβs(프레스퓨테로)’와 감독이라는 의미로 ‘επισκοποs(에피스코토스)’라는 단어로 사용합니다. ‘επισκοποs’란 그 당신 헬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하나의 타이틀 이었는데 새로운 식민지를 다스리는 인정된 관료를 뜻한다고 합니다. 사도행전 여러 곳에 ‘장로’라는 말이 나오는데, 처음 교회가 설립되기 전에는 이스라엘의 본래 주어진 장로들을 얘기하며, 교회가 설립될 때는 교회 내에 있는 장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επισκοποs’는 사도행전 20장 28절에 바울이 에베소 교회 장로를 의미할 때 한번 사용되고 나머지는 바울서신에 나오는데 이것은 이방선교에 부름을 받은 그 당시 헬라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입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 장로 등(assembled elders)을 가리켜 성령께서 감독자들(bishop)로서 세우신 자들로 칭하였습니다. 그리고 디도서 1:5-9에서는 두 용어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함으로 장로직과 감독직의 일치성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교회를 맡아 다스리고 말씀으로 교훈하는 직분을 가르쳐 ‘장로’라고 하였으며, 그 직능을 ‘감독’이라 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본문에서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하는 일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고 칭찬합니다. 그러나 감독이 되는 일은 결코 아무나 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데, 그에게 요구되는 열 두가지 성품에 대해서 나열합니다. 12가지 성품은 우리 모두가 마땅히 공유해야 하는데 저는 바울이 첫째로 말한 책망할 것이 없어야 한다는 것의 의미를 좀더 생각해 보기를 바랍니다.  책망할 것이 없다는 말의 문자적 의미는 “붙잡히는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말이 죄가 없다든지, 흠이나 잘못이 하나도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담과 하와 이후로 모든 사람은 죄의 본성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에 죄가 없는 사람이 없습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고, 또 그렇게 될 수 있다면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시지도 않으셨을 것이고, 대속의 십자가를 지는 일도 없으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책망할 것이 없다는 것은 평판에 흠잡을 것이 없어야 하고, 행동이 입방아에 오르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같은 성품은 단지 감독들에게만 요구되는 것은 아닙니다. 세상 사람들은 우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게 됩니다. 우리의 삶의 모습을 보면서 예수님을 평가하고,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도 “책망할 것이 없는" 그리스도인이 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TV에 목사의 비리, 교회의 비리가 나오면 사람들은 한 죄인을 보거나, 한 단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믿는 예수를 보며 “예수 믿는 자들이 왜 저래?” 라며 그들에게 복음 전하는 기회를 상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7절에서도 “외인에게도 선한 증거를 얻는 자라야 할지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책망할 것이 없는 삶을 살려고 노력하십니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