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딤전1:1-11]
1 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바울은
2 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3 내가 마게도냐로 갈 때에 너를 권하여 에베소에 머물라 한 것은 어떤 사람들을 명하여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며
4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지 말게 하려 함이라 이런 것은 믿음 안에 있는 하나님의 경륜을 이룸보다 도리어 변론을 내는 것이라
5 이 교훈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거늘
6 사람들이 이에서 벗어나 헛된 말에 빠져
7 율법의 선생이 되려 하나 자기가 말하는 것이나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도다
8 그러나 율법은 사람이 그것을 적법하게만 쓰면 선한 것임을 우리는 아노라
9 알 것은 이것이니 율법은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요 오직 불법한 자와 복종하지 아니하는 자와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과 거룩하지 아니한 자와 망령된 자와 아버지를 죽이는 자와 어머니를 죽이는 자와 살인하는 자며
10 음행하는 자와 남색하는 자와 인신 매매를 하는 자와 거짓말하는 자와 거짓맹세하는 자와 기타 바른 교훈을 거스르는 자를 위함이니
11 이 교훈은 내게 맡기신 바 복되신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을 따름이니라
오늘 본문에 보면 에베소 교회가 직면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데, “교훈” 때문입니다. 본문에는 교훈이라는 단어가 4번 등장합니다. 그런데 교훈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음을 바울은 말하는데, 우리가 따라가야 할 “바른 교훈”과 따르지 말아야 할 “다른 교훈”이 있다고 합니다. 3절에 보시면 바울이 디모데를 에베소에 머물러 있으라 권하면서 그를 머물게 한 목적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마게도냐로 갈 때에 너를 권하여 에베소에 머물라 한 것은 어떤 사람들을 명하여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며”라고 합니다. 에베소 교회에는 다른 교훈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디모데가 그들을 명령하여 그러한 교훈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디모데 사역의 큰 목적 가운데 하나였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에베소 교회를 위험에 처하게 만든 “다른 교훈”은 무엇일까요? 디모데는 “다른 교훈”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바울이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학자들은 사도바울의 서신서를 연구하면서 그 당시 에베소 교회를 위협하고 있던 그릇된 두가지 사상을 발견했는데 하나는 율법주의이며 다른 하나는 영지주의 입니다.
율법주의는 무엇입니까? 유대인들에게 파생된 것으로 구약의 율법을 지켜야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둘째로 영지주의자들은 신성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예수님은 지식을 통해 얻는 구원에 관하여 말씀하신 적이 없습니다.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얻을 수 있는 것이죠.
이런 율법주의와 영지주의자들의 영향이 에베소 교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4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지 말게 하려 함이라..” 여기서 말하는 신화는 “이야기들”이라고 번역해도 되고, “신기하게 조작된 이야기”라고 해도 됩니다. 당시 영지주의자들은 성경말씀 외에 그들 사이에서 은밀히 만들어진 조작된 이야기들이 신령한 지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 중요한 조건인 것처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모르면 구원 받지 못한 사람이라고 취급했다고 합니다. 혹은 그건 지식을 갖고 있으면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신앙이 뛰어난 자처럼 우월감을 갖고 과시했습니다.
하지만, 바른 교훈은 어떨까요? 바른 교훈은 우리를 사랑으로 인도합니다. 5절을 다시 읽습니다. “이 교훈의 목적은 청결한 삶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라고 말씀합니다. 청결한 마음도 중요하고, 선한 양심도 중요하고 거짓 없는 믿음도 중요하지만, 마음과 양심과 믿음을 통해서 우리가 이뤄야 할 것은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른 교훈은 개인의 행복, 지적인 충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이 사랑을 깨닫고,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바른 교훈”을 갖고 있습니까?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