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하 23장 31절 - 24장 7절
[왕하23:31-37]
31 여호아하스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이십삼 세라 예루살렘에서 석 달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하무달이라 립나 예레미야의 딸이더라
32 여호아하스가 그의 조상들의 모든 행위대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더니
33 바로 느고가 그를 하맛 땅 리블라에 가두어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지 못하게 하고 또 그 나라로 은 백 달란트와 금 한 달란트를 벌금으로 내게 하고
34 바로 느고가 요시야의 아들 엘리아김을 그의 아버지 요시야를 대신하여 왕으로 삼고 그의 이름을 고쳐 여호야김이라 하고 여호아하스는 애굽으로 잡아갔더니 그가 거기서 죽으니라
35 여호야김이 은과 금을 바로에게 주니라 그가 바로 느고의 명령대로 그에게 그 돈을 주기 위하여 나라에 부과하되 백성들 각 사람의 힘대로 액수를 정하고 은금을 징수하였더라
36 여호야김이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일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스비다라 루마 브다야의 딸이더라
37 여호야김이 그의 조상들이 행한 모든 일을 따라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더라
[왕하24:1-7]
1 여호야김 시대에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이 올라오매 여호야김이 삼 년간 섬기다가 돌아서 그를 배반하였더니
2 여호와께서 그의 종 선지자들을 통하여 하신 말씀과 같이 갈대아의 부대와 아람의 부대와 모압의 부대와 암몬 자손의 부대를 여호야김에게로 보내 유다를 쳐 멸하려 하시니
3 이 일이 유다에 임함은 곧 여호와의 말씀대로 그들을 자기 앞에서 물리치고자 하심이니 이는 므낫세의 지은 모든 죄 때문이며
4 또 그가 무죄한 자의 피를 흘려 그의 피가 예루살렘에 가득하게 하였음이라 여호와께서 사하시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시니라
5 여호야김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6 여호야김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그의 아들 여호야긴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7 애굽 왕이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 이는 바벨론 왕이 애굽 강에서부터 유브라데 강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다 점령하였음이더라
유다 최후의 성군이었던 요시야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유다의 17대 왕이 되는데, 그는 23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지만 고작 3개월 밖에 다스리지 못합니다(23:31). 그래서 그는 유다 왕들 중에 가장 단명한 왕이 되었는데, 그가 죽거나 스스로 물러나서가 아니라, 요시야를 전투에서 죽게 만든 애굽 왕 바로 느고가 그를 폐위시켰기 때문입니다 (23:33).
바로 느고가 여호아하스를 폐위시긴 이유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가 타당합니다. BC 612년에 앗수르는 수도인 니느웨가 바벨론에게 함락되고, 하란을 거쳐 갈그미스까지 쫓겨 가서 멸망당하기 직전이었습니다. 그 3년 후인 BC 609년에 바벨론과 갈그미스에서 전투를 벌이는 앗수르를 돕기 위하여 올라가던 바로느고는 요시야의 저항에 부딪쳐서 그를 물리치고 가느라 늦게 도착했는데, 결국 바벨론이 앗수르를 이긴 다음에야 도착합니다. 그래서 앗수르는 몰락하고 바벨론이 패권을 잡게 되기 때문에 바로 느고는 자신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게 한 유다에 대해 화가 나서 요시야의 아들 여호아하스를 폐위시키고 자기가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왕을 세운 겁니다. 애굽의 바로 느고가 여호아하스를 폐위시키고 유다의 18대 왕으로 세운 왕은 요시야의 맏아들인 엘리아김입니다(23:34). 폐위된 여호아하스와 이복형제인 그는 바로 느고의 꼭두각시에 불과했습니다. 바로 느고는 엘리아김의 이름을 여호야김으로 고쳤는데, 이것은 유다가 자신들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과시하는 행동이었습니다. 동시에 애굽은 여호야김을 새 왕으로 세우면서 엄청난 벌금을 내라고 요구했습니다(23:33). 이것은 약소국이 강대국에게 어떤 잘못을 저지른 경우 내는 보상금을 말하는데, 요시야가 애굽을 대적한 데 대한 괘씸죄를 물어 배상금을 요구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애굽에 의해서 왕이 되었기 때문에 그 벌금이 엄청난 액수였더라도 여호야김은 거절할 힘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서둘러 그 돈을 마련하기 위해 가혹한 세금을 징수합니다(23:35).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왕위에 있는 동안 계속 애굽의 눈치를 보며 백성들을 압제했던 여호야김은, 통치 말년에는 신흥 강대국 바벨론의 압박까지 받게 됩니다. BC 605년에는 당시 국제 정세의 판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유다의 요시야 왕을 죽였던 애굽 왕 바로 느고가 다시 갈그미스 전투에서 신흥 강대국 바벨론과 맞섰는데 참패한 것입니다. 이 전투로 인하여 앗수르는 역사에서 사라졌고, 애굽은 근동의 패권을 바벨론에게 빼앗긴 채 약한 나라로 전락해 버립니다. “애굽 왕이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 이는 바벨론 왕이 애굽 강에서부터 유브라데 강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다 점령하였음이더라” (24:7)
오늘 본문은 강대국 사이에서 기울어 가는 유다의 마지막 왕조의 모습을 잘 그리고 있습니다. 이 모습을 보면서 우리 자신을 돌아볼 수 있어야 합니다. 믿는 자들을 보면 분명히 겉으로는 믿는 사람들이고 거룩의 모양도 있는데, 실제로는 거룩한 삶이 빠져버린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악한 세력에 휘둘려 하나님 나라 백성의 힘을 잃고 식민지 백성처럼 살아갑니다. 우리의 왕권은 누가 잡고 있는지요? 하나님이 우리 보좌에 앉아 우리를 통치하고 있는지요?
Comments